(서핑지식-파도) 캐치웨이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도 타입”

서핑지식
파도
캐치웨이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도 타입’


캐치웨이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도 타입’

안녕하세요. 스킬업을 위한 서핑지식 글을 연재중 입니다. 오늘은 캐치웨이브 성공 요소 중에 하나인 파도 타입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

파도 타입은 캐치웨이브 방법을 달리해야 할 수 있으며 캐치웨이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 입니다. 바다의 영역이 태평양 등의 대양에 노출되어 있는 곳과는 다르게 좁은 영역을 가진 동쪽 해안의 경우는 다양한 형태의 파도 타입으로 해변에 다가옵니다. 서핑 하는 날 어떠한 파도 타입인지를 눈치 채고 적절한 캐치웨이브 방식을 사용한다면 파도를 잡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속도가 느린 파도

속도가 느리게 되면 파도가 세워지는 파도 벽이 잘 형성되지 않습니다. 즉 파도는 누운 상태로 으스러지듯 깨지게 되거나 누운 상태로 해변까지 가게 됩니다. 그래서 서핑을 할 수 있는 파도인지를 판별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이는 파도가 세워지는 상태에서 파도를 타야 하는 숏보드에게 불리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속도가 느린 파도는 능숙한 패들이 아니어도 파도를 잡을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며 또한 파도 브레이크가 위험하게 깨지지 않아 비기너에게 매우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파도 타입 입니다. 하지만 파도 크기가 크면서도 느린 파도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비기너에게 적절하지 않습니다.

속도가 빠른 파도

속도가 빠르게 되면 파도는 홀로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속도가 빠르다고 무조건 홀로우가 생기는 것은 아니며 ‘바람의 영향, 해저 바텀의 형태’ 에 따라 느린 파도에서 처럼 으스러지듯 깨질 수 있습니다. 속도가 빠른 파도는 ‘매우 능숙한 패들, 민감한 캐치웨이브 감각, 빠른 팝업 동작’ 등 다소 높은 기술적인 레벨을 요구합니다.

파도 간격이 좁은 파도 (작은 피리어드)

파도 간격이 좁다는 것은 파도가 짧은 시간적인 간격으로 연달아서 오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세트 파도가 오는 경우가 이러한데 파도 간격이 짧은 날은 지속적으로 파도를 잡아서 탈 수 있는 적절한 파도가 연달아서 오는 즉 지속적인 세트 파도 상황이 연출되게 됩니다. 이런 날의 경우 서핑 경험도에 따라 그날 체감한 서핑 소감이 매우 달라지게 됩니다. 노련한 서퍼들에게는 매우 좋은 날로 생각하게 되며, 비기너 서퍼들에게는 다소 정신 없는 날로 기억 되고, 입문자들의 경우 무서운 날로 기억하게 됩니다. 다양한 서핑 레벨로 구성된 서핑 친구 그룹의 경우 이러한 점을 유념하는 것도 좋습니다.

긴 플랫과 세트 파도

바다를 볼 때 파도가 없는 플랫한 상황으로 서핑을 할 수 없는 날이라고 단념할 수 있지만 한참을 기다리면 매우 품질 좋은 2~3번, 많게는 4~5번의 세트 파도가 오는 파도 타입 입니다. 참고로 이러한 파도 타입에서 긴 플랫과 세트 파도의 시간적인 간격은 짧으면 5분 길게는 30분에서 1시간일 수 있습니다.

겹치는 파도

파도가 겹친다는 것은 앞서 가는 느린 파도가 뒤에서 쫒아가는 좀 더 빠른 파도에 의해 겹쳐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파도가 겹치는 날은 어느 파도가 깨지는지를 가늠하기가 힘들어 집니다. 파도 판별 능력에 상당한 경험도가 쌓이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 오히려 라인업에 많은 서퍼들이 있을 때 더 많은 파도를 잡을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닫히는 파도

라이딩을 시작했지만 라이딩 반대 방향에서 파도가 깨져오는 형태 입니다. 이런 경우라도 실망은 하지 마세요. 나이스한 서퍼의 경우 사진 속 서퍼처럼 짧은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멋지게 라이딩을 마무리 하곤 합니다.

사진출처 스톡트매거진
길이 열리는 파도

파도 윗면이 비스듬해지는 것으로 파도는 한쪽에서부터 다른쪽으로 깨져 나가게 됩니다. 이 길이가 길면 길수록 라이딩 거리와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매우 품질 좋은 파도가 연출되는 상황입니다. 파도 윗면이 비스듬한 형태여도 브레이크 범위가 넓게 깨지는 경우도 있으니 이 경우를 유념하세요.

클로즈아웃 파도

클로즈아웃 파도 란, 넓은 범위로 파도가 깨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파도 브레이크가 예상된다면 절대 캐치 시도를 하시면 안됩니다. 덤프 파도라고도 표현을 합니다.

사진출처 스톡트매거진
홀로우 파도

파도에 홀로우가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배럴이라고도 표현합니다. 많은 서퍼들은 이러한 곳에서 라이딩을 해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숏보더의 경우에요.

사진출처 스톡트매거진
A 프레임 파도

A 프레임 파도는 파도가 A자 형태로 깨지는 파도 타입 입니다. A자로 파도가 다가와야 이런 브레이크가 생기게 됩니다. 이런 파도 타입의 특징은 레프트와 라이트 두 방향으로 라이딩을 제공하게 됩니다.

사진출처 스톡트매거진
윗 머리 범위가 긴 A 프레임 파도

공식 용어는 아닙니다. 뾰족한 형태의 A 프레임의 파도 타입은 아니지만 레프트와 라이트 두 방향으로 길을 제공하는 나쁘지 않은 파도 타입 입니다. 이 경우 파도 브레이크 범위 내에 위치해 있으면 덤프를 경험하게 되지만 파도가 깨지기 시작하는 경사로에 근접해 있다면 품질 좋은 파도를 경험하게 됩니다.

사진출처 스톡트매거진
머쉬(Mushy) 웨이브

파도가 으깨지듯 깨지는 유형의 파도 입니다. 이러한 타입의 파도에서는 팝업에 집중을 할 필요가 있는데 적절한 타이밍에 팝업을 성공할 경우 캐치웨이브에 있어 많이 수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클로즈아웃에 의해 형성된 화이트워터를 머쉬 웨이브로 착각해서는 안됩니다. 머쉬 웨이브는 분명한 피크에서 부드럽게 으깨지듯 깨지는 파도 입니다. 머쉬 웨이브 유형의 피크에 위치에 있으면 자연스럽게 파도를 타고 내려오도록 하는 그런 파도 유형으로 퍼니 웨이브의 한 유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도 크기에 따라 머쉬 웨이브라고 하더라도 파워풀하여 곧장 워시사이클로 이끌 수 있으니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도록 적절한 패들과 팝업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파도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stokedmag

안녕하세요. stokedmag 입니다. 다음의 프로필 링크를 통해 연락이 가능합니다. * Contact us : https://www.buddynguide.com/members/stokedmag

View all posts by stokedmag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