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핑지식-파도) 캐치웨이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도 각”

서핑지식
파도
캐치웨이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도 각’


캐치웨이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도 각’

안녕하세요. 스킬업을 위한 서핑지식 글을 연재중 입니다. 오늘은 캐치웨이브 성공 요소 중에 하나인 파도 각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

‘파도 각’ 이란?

‘파도 각’ 은 다가오는 파도의 면(Face) 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을 의미합니다.(공식 용어는 아니며 이해를 위해 파도 각으로 지칭을 하겠습니다.) 파도가 다가올 때 파도는 점점 수직을 이루고 그리고 나서 파도는 깨지게 됩니다.

파도를 옆에서 바라보겠습니다. 파도가 이런 모습이면 캐치웨이브가 가능한 파도가 틀림 없습니다.

또다른 파도를 봐 볼게요. 위 파도보다 파도 각이 다소 작습니다. 캐치웨이브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서프보드의 길이와 부력에 의해 결정이 될 것입니다. 이 부분이 본 글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부분입니다.

서프보드와 ‘파도 각’

여러분이 소유한 서프보드가 캐치웨이브에 필요한 파도 각은 어느 정도인지 생각해 보는 것은 캐치웨이브의 성공률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서프보드는 길이와 모양 그리고 테일 락커의 딥스(Deeps, 깊이) 에 따라 캐치웨이브에 요구되는 최소 파도각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즐겨 이용하는 서프보드가 있다면 해당 서프보드의 캐치웨이브 성공을 높이는 최소 파도 각을 알아두는 것은 서핑을 하는데 매우 좋은 정보가 될 것입니다.

간혹 롱보드이므로 파도 각이 작아도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요즘 나오는 모던 롱보드의 경우는 퍼포먼스 스타일의 롱보드가 많기 때문에 테일 락커를 상당히 깊게 만들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숏보드에서 요구되는 상당한 높이의 파도 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여러분이 즐겨 이용하는 서프보드의 특징을 알고 이러한 캐치웨이브에 필요한 최소한의 파도 각을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체중과 ‘파도 각’

만일 숏보드를 타는 서퍼의 캐치웨이브에 필요한 파도 각이 아래와 같다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이 서퍼의 체중이 늘어 동일한 서프보드를 사용할 경우 위의 파도 각에서는 파도가 잡히지 않을 수 있으며 좀 더 파도 각이 높은 상황에서 캐치웨이브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드린 캐치웨이브에 영향을 미치는 부력이 낮아져 더 높은 파도 각을 요구한 부분입니다.

캐치웨이브와 ‘파도 각’

여러분의 서프보드가 캐치웨이브를 요구하는 최소 파도 각을 알고 있다면 어떤 경우에는 가벼운 몇 번의 패들을 통해 파도가 잡힌다는 경험도 하게 됩니다. 테일이 캐치에 필요한 파도 각에 적절히 놓이는 순간에 단지 가벼운 패들 몇 번과 팝업 동작만으로도 캐치웨이브를 성공하게 됩니다. 이는 서프보드의 테일이 파도 각이 형성한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기에 충분한 경사각을 이룬 상태에서 팝업이 이루졌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패들은 여러분의 서프보드를 이러한 경사각 위치에 놓이게 하는 ‘왼손은 거들뿐’ 과 같은 수단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테이크오프와 ‘파도 각’

최소 파도 각이 높은 각을 요구할 수록 빠른 팝업 타이밍을 요구합니다. 빠른 팝업을 하지 않으면 드랍을 하되 공중에서 낙하하며 착지를 하게 되는 불완전한 드랍을 하게 됩니다. 더 늦어지면 깨지는 파도의 힘에 의해 밀려 파도 밑으로 말려 들어가게 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퍼들 중에는 이러한 파도 벽 끝부분에서의 파도를 잡는 걸 선호하는 서퍼들도 있는데, 이는 경험 많은 서퍼들이 파도 꼭대기에서 내려오는 짜릿함을 경험하는 라이딩 스타일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서핑과 ‘파도 각’

이제 서핑하러 갈 때 자신의 서프보드의 ‘길이’, ‘테일 모양’, ‘테일 락커 깊이’ 를 체크해 보십시오. 그리고 캐치웨이브를 시도할 때 어떠한 파도 각에서 캐치를 시도하고 어떠한 파도 각일 때 파도가 잡혔는지를 체크해 보십시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다음 서핑에서 어떠한 파도에 패들을 시도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덧붙이는 말

비기너 시절에 부력이 있는 클래식 롱보드의 경우 숏보드 처럼 높은 파도 각에서 파도를 잡는 것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는 대단히 위험합니다. 만일 그렇게 하는 경우 대단히 빠른 팝업을 통해 파도를 잡고 라이딩을 할 수 있으나 이는 잘못된 습관이고 다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게 됩니다. 작은 파도 각에서도 안전하게 파도를 잡을 수 있는데 위험한 상황을 만들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stokedmag

안녕하세요. stokedmag 입니다. 다음의 프로필 링크를 통해 연락이 가능합니다. * Contact us : https://www.buddynguide.com/members/stokedmag

View all posts by stokedmag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