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핑지식-서프보드) 덕다이브를 할 수 있는 서프보드 부력에 대해

서핑지식
장비
덕다이브를 할 수 있는 서프보드 부력에 대해

참고출처 ridingboards


덕다이브를 할 수 있는 서프보드 부력에 대해

안녕하세요. 서핑지식 글을 연재중 입니다. 오늘은 덕다이브를 할 수 있는 서프보드 부력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

덕다이브는 깨지는 파도를 물 밑으로 넘어가기 위한 길이가 작은 보드의 서핑 기술입니다. 이러한 덕다이브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라이더의 무게와 보드 부력에 의존하게 됩니다. 그밖에도 보드 모양이 영향을 주는데 피쉬 보드처럼 작은 길이 보드이지만 노즈와 테일이 넓은 보드의 경우라면 보드 모양도 덕다이브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오늘은 길이가 작은 보드를 선호하는 분들이 덕다이브를 연습하려 할 때 어느 정도의 부력을 가진 보드를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덕다이브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에 대해서 알고 갈게요.

사진출처 saltwater-dreaming
덕다이브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
덕다이브 – 라이더의 체중 – 보드 부력 – 패들 – 캐치웨이브

덕다이브를 수행하기 위해 작은 부력의 보드를 선택할 경우 그만큼 패들을 하는 것과 파도를 잡는데에 어려움을 주기 때문에 그저 작은 부력의 서프보드를 선택할 수만은 없을 것입니다. 반대로 길이가 작더라도 부력이 큰 서프보드가 있으므로 그저 작은 길이의 서프보드를 선택할 수만도 없을 것입니다. 또한 덕다이브를 수행하는데 보드 부력은 체중이라는 변수에 의해 달라지게 됩니다.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 덕다이브와 위에서 언급한 키워드들 간에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덕다이브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보드 부력의 관계

덕다이브와 보드 부력의 관계는 배타적인 관계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눈치 챌 수 있습니다. 덕다이브는 물 밑으로 내려가야 하지만 보드 부력은 물 위로 떠오르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덕다이브에 영향을 주는 몇가지 요소와 보드 부력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라이더의 체중

라이더의 체중이 크면 클 수록 덕다이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좀 더 높은 보드 부력을 허용할 것입니다. 

라이더의 덕다이브 수행 능숙도와 힘

라이더가 덕다이브를 수행하는 능숙도가 좋고 힘이 셀 수록 덕다이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좀 더 높은 보드 부력을 허용할 것입니다.

보드 모양

노즈와 테일이 좁을 수록 덕다이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좀 더 높은 보드 부력을 허용할 것입니다.

파도 높이

파도 높이가 작을 수록 덕다이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좀 더 높은 보드 부력을 허용할 것입니다.

덕다이브를 위한 보드 부력 결정 공식

덕다이브를 할 수 있는 보드 부력을 결정하는데에 정확한 과학적인 공식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위에서 언급한 덕다이브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각각의 서퍼와 파도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아래의 공식을 통해 덕다이브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보드 부력을 선택하기 위하여 약간의 힌트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공식의 원칙은 이렇습니다. 여러분의 체중의 4 ~ 4.5 파운드 마다 약 1리터 정도를 덕다이브 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공식 적용 사례

공식을 활용하여 체중 75 kg 을 상대로 덕다이브를 할 수 있는 보드 부력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75 kg 은 약 165 파운드 입니다. 4.5 파운드로 나누면 약 36 리터인 부력의 서프보드를 가지고 덕다이브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식으로 차트를 그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때 4 lbs/L 로 나누었을 때의 부력은 덕다이브를 할 수 있는 라이더의 능숙함과 힘이 있는 경우 해당 수치까지도 덕다이브를 허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능숙은 서핑 능숙도가 아닌 덕다이브 능숙을 의미합니다. (능숙도가 높으면 낮은 부력의 보드를 선호할 수 있기에 다소 아이러니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이 이어집니다.)

체중 kg (lbs) 1 L 를 덕다이브 할 수 있는 무게 lbs/L
(능숙/파워↑ – 능숙/파워↓)
최대 허용 부력 L
(능숙/파워↑ – 능숙/파워↓)
55 (121) 4 – 4.5 30 – 26
65 (143) 4 – 4.5 35 – 31
75 (165) 4 – 4.5 41 – 36
85 (187) 4 – 4.5 46 – 41
95 (209) 4 – 4.5 52 – 46

이렇게 산출된 부력은 덕다이브를 허용케 하는 가장 큰 부력을 의미합니다. 즉 그 이상의 부력을 가진 서프보드로는 덕다이브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산출된 부력보다 더 작은 부력의 서프보드로 덕다이브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히려 더 수월할 것입니다. 이러한 보드를 선택했다는 것은 이미 경험이 많은 서퍼일 것이므로 위 공식은 불필요 할 것입니다. 이때는 덕다이브를 위한 부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서핑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보드 부력을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유의 사항

위에서 안내하고 있는 덕다이브 부력 공식은 덕다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최대 허용 부력 수치를 산출하는 공식입니다. 이것은 입문 단계에 덕다이브에 적응하기 위한 서프보드 부력을 알고 싶은 경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즉 부력이 높은 숏보드를 이용하며 숏보드에 적응을 한 후 어느 시점에 덕다이브를 요구할 정도로 파도를 높이는 순간이 올 것입니다. 이때 위 공식을 활용하여 현재의 레벨에 적절한 덕다이브를 허용하는 부력을 가진 보드를 선택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할 것은 위 공식은 라이더의 서핑 테크닉과 관련된 전문성에 적용을 하면 안됩니다. 전문성이 높을 수록 기동성을 비롯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 더욱 낮은 보드 부력을 선호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선호하는 보드로 덕다이브가 가능한지는 고민을 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stokedmag

안녕하세요. stokedmag 입니다. 다음의 프로필 링크를 통해 연락이 가능합니다. * Contact us : https://www.buddynguide.com/members/stokedmag

View all posts by stokedmag →

답글 남기기